에스라 2:1-70 본문 말씀
2:1 옛적에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에게 사로잡혀 바벨론으로 갔던 자의 자손 중에서 놓임을 받고 예루살렘과 유다 도로 돌아와 각기 본성에 이른 자
2:2 곧 스룹바벨과 예수아와 느헤미야와 스라야와 르엘라야와 모르드개와 빌산과 미스발과 비그왜와 르훔과 바아나 등과 함께 나온 이스라엘 백성의 명수가 이러하니
2:3 바로스 자손이 이천일백칠십이 명이요
2:4 스바댜 자손이 삼백칠십이 명이요
2:5 아라 자손이 칠백칠십오 명이요
2:6 바핫모압 자손 곧 예수아와 요압 자손이 이천팔백십이 명이요
2:7 엘람 자손이 일천이백오십사 명이요
2:8 삿두 자손이 구백사십오 명이요
2:9 삭개 자손이 칠백육십 명이요
2:10 바니 자손이 육백사십이 명이요
2:11 브배 자손이 육백이십삼 명이요
2:12 아스갓 자손이 일천이백이십이 명이요
2:13 아도니감 자손이 육백육십육 명이요
2:14 비그왜 자손이 이천오십육 명이요
2:15 아딘 자손이 사백오십사 명이요
2:16 아델 자손 곧 히스기야 자손이 구십팔 명이요
2:17 베새 자손이 삼백이십삼 명이요
2:18 요라 자손이 일백십이 명이요
2:19 하숨 자손이 이백이십삼 명이요
2:20 깁발 자손이 구십오 명이요
2:21 베들레헴 사람이 일백이십삼 명이요
2:22 느도바 사람이 오십육 명이요
2:23 아나돗 사람이 일백이십팔 명이요
2:24 아스마웹 자손이 사십이 명이요
2:25 기랴다림과 그비라와 브에롯 자손이 칠백사십삼 명이요
2:26 라마와 게바 자손이 육백이십일 명이요
2:27 믹마스 사람이 일백이십이 명이요
2:28 벧엘과 아이 사람이 이백이십삼 명이요
2:29 느보 자손이 오십이 명이요
2:30 막비스 자손이 일백오십육 명이요
2:31 다른 엘람 자손이 일천이백오십사 명이요
2:32 하림 자손이 삼백이십 명이요
2:33 로드와 하딧과 오노 자손이 칠백이십오 명이요
2:34 여리고 자손이 삼백사십오 명이요
2:35 스나아 자손이 삼천육백삼십 명이었더라
2:36 제사장들은 예수아의 집 여다야 자손이 구백칠십삼 명이요
2:37 임멜 자손이 일천오십이 명이요
2:38 바스훌 자손이 일천이백사십칠 명이요
2:39 하림 자손이 일천십칠 명이었더라
2:40 레위 사람은 호다위야 자손 곧 예수아와 갓미엘 자손이 칠십사 명이요
2:41 노래하는 자들은 아삽 자손이 일백이십팔 명이요
2:42 문지기의 자손들은 살룸과 아델과 달문과 악굽과 하디다와 소배 자손이 모두 일백삼십구 명이었더라
2:43 느디님 사람들은 시하 자손과 하수바 자손과 답바옷 자손과
2:44 게로스 자손과 시아하 자손과 바돈 자손과
2:45 르바나 자손과 하가바 자손과 악굽 자손과
2:46 하갑 자손과 사믈래 자손과 하난 자손과
2:47 깃델 자손과 가할 자손과 르아야 자손과
2:48 르신 자손과 느고다 자손과 갓삼 자손과
2:49 웃사 자손과 바세아 자손과 베새 자손과
2:50 아스나 자손과 므우님 자손과 느부심 자손과
2:51 박북 자손과 하그바 자손과 할훌 자손과
2:52 바슬룻 자손과 므히다 자손과 하르사 자손과
2:53 바르고스 자손과 시스라 자손과 데마 자손과
2:54 느시야 자손과 하디바 자손이었더라
2:55 솔로몬의 신복의 자손은 소대 자손과 하소베렛 자손과 브루다 자손과
2:56 야알라 자손과 다르곤 자손과 깃델 자손과
2:57 스바댜 자손과 하딜 자손과 보게렛하스바임 자손과 아미 자손이니
2:58 모든 느디님 사람과 솔로몬의 신복의 자손이 삼백구십이 명이었더라
2:59 델멜라와 델하르사와 그룹과 앗단과 임멜에서 올라온 자가 있으나 그 종족과 보계가 이스라엘에 속하였는지는 증거할 수 없으니
2:60 저희는 들라야 자손과 도비야 자손과 느고다 자손이라 도합이 육백오십이 명이요
2:61 제사장 중에는 하바야 자손과 학고스 자손과 바르실래 자손이니 바르실래는 길르앗 사람 바르실래의 딸 중에 하나로 아내를 삼고 바르실래의 이름으로 이름한 자라
2:62 이 사람들이 보계 중에서 자기 이름을 찾아도 얻지 못한 고로 저희를 부정하게 여겨 제사장의 직분을 행치 못하게 하고
2:63 방백이 저희에게 명하여 우림과 둠밈을 가진 제사장이 일어나기 전에는 지성물을 먹지 말라 하였느니라
2:64 온 회중의 합계가 사만 이천삼백육십 명이요
2:65 그 외에 노비가 칠천삼백삼십칠 명이요 노래하는 남녀가 이백 명이요
2:66 말이 칠백삼십육이요 노새가 이백사십오요
2:67 약대가 사백삼십오요 나귀가 육천칠백이십이었더라
2:68 어떤 족장들이 예루살렘 여호와의 전 터에 이르러 하나님의 전을 그 곳에 다시 건축하려고 예물을 즐거이 드리되
2:69 역량대로 역사하는 곳간에 드리니 금이 육만 일천 다릭이요 은이 오천 마네요 제사장의 옷이 일백 벌이었더라
2:70 이에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과 백성 몇과 노래하는 자들과 문지기들과 느디님 사람들이 그 본성들에 거하고 이스라엘 무리도 그 본성들에 거하였느니라
출처: 대한성서공회 개역한글 성경
본문 개요
요약: 에스라 2장은 바벨론 포로 생활에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의 귀환자 명단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명단은 돌아온 공동체의 규모와 구성원(족장, 제사장, 레위인, 느디님 사람, 솔로몬의 신복의 자손)을 보여주며, 성전 재건을 위한 헌신과 정착 과정을 나타냅니다. 이는 하나님의 언약 백성이 고난 끝에 회복되는 구속사적 사건을 보여줍니다.
배경: 이 본문은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제1차 공동체의 명단으로, 스룹바벨의 인도로 예루살렘에 돌아온 사람들의 기록입니다. 포로 생활 70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은 무너진 성전과 예루살렘을 재건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습니다.
문학 장르: 족보 및 귀환자 명단 (Genealogy and Census List). 역사적 기록으로서 사실 전달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신학적 의미는 기록된 사실 자체와 그 배경에서 파악해야 합니다.
주요 목적: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이스라엘 공동체의 규모와 구성을 명확히 하고, 성전 재건의 기초를 다지며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서의 정체성을 회복시키고자 했습니다.
문맥적 이해
역사적 문맥
기원전 538년, 고레스 왕의 칙령에 따라 바벨론 포로에서 해방된 유대인들이 스룹바벨의 지도 아래 예루살렘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들은 약탈당하고 황폐해진 예루살렘과 성전을 재건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습니다. 이 명단은 귀환자들의 신원과 수를 파악하여 공동체의 재건과 성전 봉사를 준비하기 위한 목적을 가집니다.
문학적 문맥
에스라 1장에서 고레스 왕의 칙령으로 귀환이 시작된 후, 2장에서는 구체적으로 누가 돌아왔는지를 상세히 기록합니다. 이는 3장에서 성전 재건이 시작되기 위한 준비 단계이며, 4장 이후에는 성전 재건 과정에서 겪게 될 어려움과 느헤미야 시대의 예루살렘 성벽 재건으로 이어지는 역사적 흐름의 중요한 시작점입니다.
핵심 해석
핵심 단어 해석
구문 분석
본문은 주로 열거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귀환자들의 이름과 그 수를 나열하는 형식입니다. 각 족속과 직분별로 구분되어 있어, 누가 돌아왔는지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자손'이라는 반복적인 구문은 혈통적 연결성을 강조합니다.
본문 구조 분석
본문 구조:
- 2:1-2:19: 스룹바벨과 함께 돌아온 일반 백성들의 족보 (1-20절)
- 2:20-2:35: 그 외 지역에서 돌아온 백성들의 족보 (21-35절)
- 2:36-2:39: 제사장들의 족보 (36-39절)
- 2:40-2:42: 레위인, 노래하는 자, 문지기의 족보 (40-42절)
- 2:43-2:58: 느디님 사람과 솔로몬의 신복의 자손 (43-58절)
- 2:59-2:63: 족보 불확실한 자들과 제사장 직무 관련 규정 (59-63절)
- 2:64-2:67: 총 인원 및 가축 수 (64-67절)
- 2:68-2:70: 성전 재건을 위한 헌물과 귀환자들의 정착 (68-70절)
논리적 흐름: 본문은 귀환한 공동체의 구성을 상세히 열거함으로써, 그 규모와 다양성을 보여줍니다. 이는 단순히 돌아온 사람들의 목록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언약 백성을 다시 모으시고 공동체를 재건하시는 구체적인 과정을 보여주는 논리적 흐름을 가집니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성전 재건을 위한 헌신과 실제적인 정착을 언급하며 마무리됩니다.
주요 명제:
-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의 정확한 명단은 이러하다.
- 귀환 공동체는 족장, 제사장, 레위인, 느디님 사람 등 다양한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 성전 재건을 위해 백성들이 자발적으로 헌신하였다.
- 귀환자들은 각자의 본성으로 돌아가 정착하였다.
주요 메시지
하나님께서는 포로에서 돌아온 당신의 백성을 세밀하게 기억하시고, 그들의 공동체 재건과 성전 회복을 인도하신다는 것입니다.
신학적 통찰
이 본문은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보여줍니다. 비록 인간의 죄로 인해 포로가 되었지만, 하나님께서는 약속대로 당신의 백성을 돌아오게 하시고 공동체를 다시 세우십니다. 이는 하나님의 구속 계획이 인간의 실패와 상관없이 반드시 이루어짐을 증명합니다.
복음적 연결
그리스도 중심적 이해
이 명단은 궁극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완성될 하나님의 백성 공동체를 예표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죄와 사망의 포로 된 모든 영혼을 해방시키시고, 성령을 통해 새로운 공동체(교회)를 이루어 하나님 나라를 재건하십니다. 돌아온 이스라엘 공동체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완성될 새 예루살렘 공동체의 그림자입니다.
구속사적 의의
에스라 2장의 귀환자 명단은 흩어졌던 하나님의 백성이 다시 모여 언약 공동체를 이루는 구속사의 한 장면입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 모든 믿는 자들을 유대인과 이방인을 막론하고 하나님의 자녀 삼으시는 구속 사역의 시작을 보여줍니다. 성전 재건은 예수님께서 친히 성전이 되시고, 우리 안에 거하시는 하나님 나라의 완성을 예표합니다.
적용
보편적 원리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백성을 기억하시고, 흩어진 자들을 모아 공동체를 회복시키시는 분이십니다. 우리의 정체성은 하나님의 언약 안에 있으며, 공동체 안에서 그 사명을 감당해야 합니다.
교회 적용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 된 하나님의 새로운 공동체입니다. 우리는 각자의 은사와 달란트를 가지고 교회를 세우는 일에 힘써야 하며, 공동체의 회복과 부흥을 위해 헌신해야 합니다.
개인 적용
자신의 신앙과 삶이 하나님의 언약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어떤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과거의 실패나 현재의 어려움에 얽매이지 않고, 하나님께서 주신 은혜를 기억하며 공동체 안에서 받은 사명을 기쁨으로 감당해야 합니다.
실천 단계
- 이번 주, 공동체 지체 중 한 명에게 격려와 감사의 메시지를 보냅니다.
- 교회 봉사나 구역 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공동체 지체로서의 역할을 다합니다.
- 나의 삶이 하나님 나라 공동체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묵상하고 기도합니다.
말씀 나눔 포인트
제목: 돌아온 백성, 회복된 공동체
핵심 아이디어: 하나님께서는 포로 귀환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통해 당신의 신실하심과 백성 공동체를 회복시키시는 구속의 은혜를 보여주십니다.
주요 포인트
- 1. 하나님의 기억과 해방: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백성을 잊지 않으시고, 포로의 사슬에서 풀어 자유를 주십니다. (2:1)
- 2. 공동체의 재건과 헌신: 돌아온 백성들은 각자의 위치에서 공동체를 재건하고 성전 봉사를 위해 기쁨으로 헌신합니다. (2:2, 68-69)
- 3. 언약 백성의 정체성과 소망: 명단에 기록된 모든 이들은 하나님의 언약 안에 있는 소중한 백성이며, 하나님의 약속 안에서 소망을 발견합니다. (2:64-67, 70)
토론 질문
- 우리가 '포로' 상태에서 '해방'되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며, 이러한 해방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켜야 할까요?
- 교회 공동체 안에서 나의 역할은 무엇이며, 공동체 회복과 성장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구체적인 헌신은 무엇일까요?
- 하나님께서 우리를 기억하시고 언약 백성으로 삼으셨다는 사실이 우리의 삶에 어떤 소망과 확신을 줍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