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삶] 스가랴 11:1-17

스가랴 11:1-17 본문 말씀

스가랴 11:1-11:17

11:1 레바논아 네 문을 열고 불이 네 백향목을 사르게 하라
11:2 너 잣나무여 곡할지어다 백향목이 넘어졌고 아름다운 나무가 훼멸되었도다 바산의 상수리나무여 곡할지어다 무성한 삼림이 엎드러졌도다
11:3 목자의 곡하는 소리가 남이여 그 영화로운 것이 훼멸되었음이로다 어린 사자의 부르짖는 소리가 남이여 이는 요단의 자랑이 황무하였음이로다
11:4 여호와 나의 하나님이 가라사대 너는 잡힐 양 떼를 먹이라
11:5 산 자들은 그들을 잡아도 죄가 없다 하고 판 자들은 말하기를 내가 부요케 되었은즉 여호와께 찬송하리라 하고 그 목자들은 그들을 불쌍히 여기지 아니하는도다
11:6 여호와가 말하노라 내가 다시는 이 땅 거민을 불쌍히 여기지 아니하고 그 사람을 각각 그 이웃의 손과 임금의 손에 붙이리니 그들이 이 땅을 칠지라도 내가 그 손에서 건져내지 아니하리라 하시기로
11:7 내가 이 잡힐 양 떼를 먹이니 참으로 가련한 양이라 내가 이에 막대기 둘을 취하여 하나는 은총이라 하며 하나는 연락이라 하고 양 떼를 먹일새
11:8 한 달 동안에 내가 그 세 목자를 끊었으니 이는 내 마음에 그들을 싫어하였고 그들의 마음에도 나를 미워하였음이라
11:9 내가 가로되 내가 너희를 먹이지 아니하고 죽는 자는 죽는 대로, 망할 자는 망할 대로, 그 나머지는 피차 살을 먹는 대로 두리라 하고
11:10 이에 은총이라 하는 막대기를 취하여 잘랐으니 이는 모든 백성과 세운 언약을 폐하려 하였음이라
11:11 당일에 곧 폐하매 내게 청종하던 가련한 양들은 이것이 여호와의 말씀이었던 줄 안지라
11:12 내가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가 좋게 여기거든 내 고가를 내게 주고 그렇지 아니하거든 말라 그들이 곧 은 삼십을 달아서 내 고가를 삼은지라
11:13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그들이 나를 헤아린 바 그 준가를 토기장이에게 던지라 하시기로 내가 곧 그 은 삼십을 여호와의 전에서 토기장이에게 던지고
11:14 내가 또 연락이라 하는 둘째 막대기를 잘랐으니 이는 유다와 이스라엘 형제의 의를 끊으려 함이었느니라
11:15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너는 또 우매한 목자의 기구들을 취할지니라
11:16 보라 내가 한 목자를 이 땅에 일으키리니 그가 없어진 자를 마음에 두지 아니하며 흩어진 자를 찾지 아니하며 상한 자를 고치지 아니하며 강건한 자를 먹이지 아니하고 오히려 살진 자의 고기를 먹으며 또 그 굽을 찢으리라
11:17 화 있을진저 양 떼를 버린 못된 목자여 칼이 그 팔에, 우편 눈에 임하리니 그 팔이 아주 마르고 그 우편 눈이 아주 어두우리라

출처: 대한성서공회 개역한글 성경

본문 개요

요약: 본문은 타락한 목자들과 그로 인해 고통받는 백성을 묘사하며, 하나님의 심판과 함께 장차 오실 참 목자에 대한 예언을 담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불순종하는 백성과 지도자들을 심판하시고, 결국에는 흩어진 양들을 모아 구원하실 메시아를 약속하십니다.

배경: 스가랴는 바벨론 포로 귀환 후 성전 재건에 힘쓰던 시대에 활동했습니다. 본문은 이스라엘 백성과 그 지도자들의 영적 타락과 불신앙을 강하게 질책하며, 하나님의 심판을 예고합니다. 특히 '목자'는 영적 지도자들을 상징합니다.

문학 장르: 예언, 상징적 행동 예언. 본문은 심판과 구원의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상징적인 행위(막대기 자르기)를 통해 하나님의 뜻을 전달합니다. 상징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주의해야 합니다.

주요 목적: 이스라엘의 영적 지도자들의 타락과 그로 인한 하나님의 심판을 선포하고, 동시에 장차 오실 참 목자이신 메시아를 통한 구원의 소망을 제시하기 위함입니다.

문맥적 이해

역사적 문맥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이스라엘 백성은 성전 재건을 마치고 공동체를 회복하려 했으나, 영적인 침체와 지도자들의 부패를 겪고 있었습니다. 본문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하나님의 심판이 임박했음을 경고합니다.

문학적 문맥

스가랴서 11장은 9-14장에서 이어지는 '하나님의 심판과 회복'에 대한 예언의 일부입니다. 특히 9-11장은 이방 민족과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다루며, 11장은 타락한 목자들에 대한 심판을 집중적으로 조명합니다. 이후 12-14장은 메시아 왕국에 대한 소망을 제시합니다.

핵심 해석

핵심 단어 해석

목자 (רֹעִי, ro'i) – 양 떼를 돌보는 사람을 의미하며, 영적 지도자(왕, 제사장, 선지자)를 상징합니다. 본문에서는 타락하고 부패한 지도자들을 지칭하며, 그들의 무책임함과 탐욕을 비판합니다.
양 떼 (צאֹן, tso'n) – 목자의 돌봄을 받는 양들을 의미하며, 하나님의 백성, 즉 이스라엘을 상징합니다. 타락한 목자들로 인해 고통받고 흩어지는 무기력한 존재로 묘사됩니다.
막대기 (은총, 연락) (שֵׁבֶט, shevet) – 통치와 권위를 상징하는 막대기입니다. '은총'(חֵן, chen)은 하나님과의 언약과 사랑을, '연락'(קֶשֶׁר, qesher)은 백성 간의 연합과 질서를 상징합니다. 이 두 막대기를 자르는 것은 하나님과의 언약을 파기하고 백성의 연합을 깨뜨리는 심판을 의미합니다.
은 삼십 (כֶּסֶף, kesef) – 은 삼십은 노예의 값으로 지불되는 일반적인 금액입니다(출애굽기 21:32). 이는 백성들이 하나님(참 목자)을 하찮게 여기고, 그 가치를 은 삼십으로 평가 절하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배신 가격과도 연결됩니다.

구문 분석

본문은 '레바논아'(1절)와 같은 감탄사로 시작하여 심판의 임박성을 알리고, '곡할지어다'(2-3절)와 같은 명령형을 통해 애가의 정서를 표현합니다. 4절부터는 '여호와가 가라사대'라는 직접적인 하나님의 선포가 이어지며, 목자와 양 떼에 대한 심판과 관련된 상징적 행위(막대기 자르기)가 묘사됩니다. 10-11절에서는 언약 파기에 대한 설명이, 12-14절에서는 은 삼십의 의미와 그 처리에 대한 지시가 나타납니다. 15-17절은 '우매한 목자'에 대한 심판을 예언하며 마무리됩니다.

본문 구조 분석

본문 구조:

  • 1-3절: 심판받을 땅과 지도자들에 대한 탄식
  • 4-6절: 타락한 목자들과 백성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 선포
  • 7-9절: 두 막대기(은총, 연락)를 통한 언약 파기와 심판 예고
  • 10-11절: 언약 파기(은총 막대기 자르기)와 백성의 반응
  • 12-14절: 배신 가격(은 삼십)의 의미와 처리
  • 15-17절: 우매한 목자에 대한 심판 예언

논리적 흐름: 본문은 하나님의 심판 선포에서 시작하여(4-6절), 그 심판의 구체적인 양상(언약 파기, 연합 붕괴, 배신 가격)을 상징적 행위를 통해 설명하고(7-14절), 마지막으로 타락한 지도자들에 대한 최종적인 심판을 예언하며(15-17절) 마무리됩니다. 논리적 흐름은 심판의 원인(타락한 목자와 백성)에서 결과(심판과 멸망)로 이어집니다.

주요 명제:

  • 하나님께서는 타락한 지도자들과 불순종하는 백성을 심판하실 것이다.
  • 하나님과 백성 사이의 언약이 파기되고 공동체의 연합이 깨어질 것이다.
  • 타락한 지도자들은 그들의 불신앙과 탐욕으로 인해 하나님의 심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 장차 하나님께서 참 목자를 세워 흩어진 양들을 구원하실 것이다.

주요 메시지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백성을 돌봐야 할 영적 지도자들의 타락과 불신앙을 심판하시며, 그 결과로 백성은 큰 고통을 겪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 심판 속에서도 하나님께서는 장차 오실 메시아를 통해 궁극적인 구원과 회복을 이루실 것이다.

신학적 통찰

본문은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과 언약에 대한 신실하심을 드러냅니다. 하나님은 죄와 불의를 반드시 심판하시지만, 동시에 흩어진 양들을 향한 긍휼과 구원의 계획을 가지고 계십니다. 이는 인간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구속 사역이 계속됨을 보여줍니다.

복음적 연결

그리스도 중심적 이해

본문에서 언급된 '은 삼십'은 예수 그리스도가 가룟 유다에게 은 삼십에 팔린 사건을 예표합니다. 또한, 타락한 목자들과 고통받는 양들의 모습은 죄와 죽음의 권세 아래 신음하는 인류를 보여주며,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신 참 목자이심을 드러냅니다.

구속사적 의의

스가랴가 자른 막대기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으로 인해 옛 언약이 폐기되고, 새로운 언약이 세워졌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우매한 목자'의 심판은 죄와 사망의 권세를 상징하는 악한 영들의 궁극적인 패배를 예고하며, 예수님께서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 이루실 구속 사역의 완성을 암시합니다.

적용

보편적 원리

영적 지도자들은 하나님의 백성을 향한 책임감을 가지고 성실하게 직무를 수행해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하나님의 엄중한 심판을 피할 수 없습니다. 또한, 백성 역시 하나님과의 언약을 소중히 여기고 신실하게 순종해야 합니다.

교회 적용

교회의 지도자들은 본문을 통해 자신들의 영적 책임을 깊이 성찰하고, 성도들을 향한 사랑과 헌신을 더욱 강화해야 합니다. 성도들은 교회의 지도자들을 존경하고 기도하며, 하나님께서 세우신 질서에 순종해야 합니다.

개인 적용

개인적으로 우리는 타락한 목자들처럼 되지 않도록 늘 자신을 돌아보고, 맡겨진 역할에 충실해야 합니다. 또한, 예수 그리스도를 참 목자로 모시고 그분의 인도하심에 온전히 순종하며, 하나님과의 언약을 굳게 붙들어야 합니다.

실천 단계

  • 이번 주, 교회의 영적 지도자들을 위해 구체적으로 기도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가정, 직장, 교회)에서 성실함과 책임감을 다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를 묵상하며, 말씀에 순종하는 삶을 다짐합니다.

말씀 나눔 포인트

제목: 버림받은 목자와 참 목자

핵심 아이디어: 우리의 죄와 불신앙으로 인해 하나님과의 언약이 깨어지고 심판이 임하지만, 예수 그리스도께서 참 목자가 되사 우리를 구원하시고 회복시키실 것입니다.

주요 포인트

  1. 타락한 목자들의 죄악과 그로 인한 심판: 지도자들의 무책임함과 탐욕은 하나님의 엄중한 심판을 초래하며, 공동체 전체에 고통을 안겨줍니다.
  2. 깨어진 언약과 흩어진 백성: 하나님과의 언약이 파기되고 공동체가 붕괴될 때, 백성은 마치 길 잃은 양처럼 고통받게 됩니다. 이는 우리의 죄가 하나님과의 관계를 단절시킴을 보여줍니다.
  3. 오직 예수, 참 목자의 구원: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의 죄값을 치르시고, 흩어진 양들을 모아 영원한 생명으로 인도하시는 참 목자이십니다. 그분을 통해 우리는 구원과 회복을 얻습니다.

토론 질문

  • 본문에서 묘사된 '못된 목자'의 모습은 오늘날 우리 사회나 교회에서 어떻게 나타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 하나님과의 언약이 깨어진다는 것은 우리의 신앙생활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요?
  • 예수 그리스도를 '참 목자'로 모신다는 것은 우리의 삶에서 어떤 변화와 결단을 요구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댓글 남기기